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아이가 갑자기 물었어요. "엄마 오늘 태극기 다는 날이래. 왜 다는거야?"
그래서 오늘은 아이와 함께 궁금한 것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그 내용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1. 삼일절이란 무엇일까요?
삼일절(三一節)은 대한민국의 국경일 중 하나로, 매년 3월 1일에 기념됩니다. 이 날은 1919년 3월 1일,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 통치에서 벗어나 독립을 선언하고, 전국적으로 만세운동을 펼친 날입니다.
당시 우리 조상들은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며 평화적으로 독립을 요구했습니다. 이를 3·1운동(삼일운동)이라고 하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2. 어린이들이 궁금해할 삼일절 이야기
(1) 삼일절에는 왜 태극기를 다나요?
삼일절은 나라의 독립을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리는 날입니다. 우리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집이나 학교에서 태극기를 다는 것이죠.
▶ 태극기를 다는 방법:
1.국기 게양대가 있다면 맨 위까지 올려서 단다.
2.집에서 다는 경우, 창문이나 베란다에 걸어둔다.
3.저녁 6시 이후에는 내리는 것이 원칙이지만, 24시간 달아도 상관은 없다.
(2) 삼일절에 무슨 일이 있었나요?
1919년 3월 1일, 서울의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수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어요.
이 운동은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으로 퍼져 나갔고, 심지어 해외에서도 우리나라의 독립을 지지하는 움직임이 생겼어요.
하지만, 일본 경찰은 이 운동을 강하게 탄압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다치거나 희생되었지만, 이 운동 덕분에 세계 여러 나라가 한국의 독립운동을 알게 되었고,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세워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그때 어린이들은 무엇을 했을까요?
3·1운동 당시 어린이들도 독립운동에 참여했습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유관순 열사가 있습니다. 유관순(1902~1920) 열사는 18세의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독립운동을 이끌다가 일본 경찰에 잡혀 감옥에서도 끝까지 독립을 외친 인물입니다.
뿐만 아니라, 그 시절 많은 어린이들이 태극기를 나누어 주거나, 만세운동을 하면서 독립의 뜻을 함께 외쳤습니다.
3. 삼일절을 맞이하여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삼일절은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날입니다.
어린이들도 삼일절을 기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해볼 수 있어요.
✅ 태극기 그리기 및 색칠하기
✅ 삼일절 관련 동화책이나 역사책 읽기
✅ 유관순 열사나 독립운동가에 대한 이야기 듣기
✅ 삼일절 관련 박물관이나 역사 기념관 방문하기
이런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의 소중함을 배우고,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키울 수 있어요!
4. 삼일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A)
Q1. 삼일절은 왜 빨간 날인가요?
➡ 삼일절은 우리나라의 중요한 국경일이기 때문에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어요.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날이기 때문에 쉬는 날로 정해졌어요.
Q2. 삼일절과 광복절은 어떻게 다른가요?
➡ 삼일절은 독립을 위해 싸운 날이고, 광복절(8월 15일)은 실제로 나라를 되찾은 날이에요. 삼일절을 통해 시작된 독립운동이 계속 이어져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일본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Q3. 다른 나라에도 삼일절 같은 기념일이 있나요?
➡ 네! 미국에는 독립기념일(7월 4일)이 있고, 프랑스는 혁명 기념일(7월 14일)이 있어요. 각 나라마다 독립을 기념하는 날이 다르게 정해져 있어요.
5. 삼일절은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라, 우리나라가 독립을 위해 싸운 날이라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해요.
어린이들도 태극기를 달고, 삼일절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대한독립 만세!"를 외쳐보는 건 어떨까요?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께 감사하며, 우리나라를 더욱 사랑하는 하루가 되길 바랍니다!
'마음 가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김치의 매력,효능부터 맛있게 보관하는 팁까지! (2) | 2025.03.18 |
---|---|
부를 끌어당기는 마음가짐, 『더 해빙(The Having)』 책을 읽고... (34) | 2025.03.05 |
초등 맞벌이 가정을 위한 필수 지원제도 (19) | 2025.03.03 |
정월대보름-달빛아래 설화이야기 (20) | 2025.02.12 |
'한포진' 이제 헤어지자! (0) | 2025.01.28 |